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치매 대상자의 행동 대처법 1

by 2생흥 2025. 2. 18.
반응형

치매대상자의 행동 대처법 1


치매 대상자는 우울과 위축행동을 비롯하여 망상, 의심, 배회 등 다양한 이상행동을 보입니다. 감정과 행동이 갑자기 변화하거나 해 질 무렵에 특정 증상이 더 악화되기도 합니다. 이러한 문제행동에 대처하기위해 안전하고 안정된 환경을 조성하고, 각 상황에 맞게 대처해야 합니다.


1. 반복적 질문이나 행동
치매후기 단계에서 치매 대상자는 비논리적으로 이야기하거나 같은 단어나 행동을 연속적으로 여러 번 반복하게 됩니다.

 1) 기본 원칙
① 치매 대상자의 주의를 환기합니다.
② 반복적인 행동이 해가 되지 않으면 무리하게 중단시키지 말고 그냥 놔두어도 됩니다.
③ 치매 대상자가 심리적 안정과 자신감을 갖도록 도와줍니다.
④ 질문에 답을 해주는 것보다 치매 대상자를 다독거리며 안심시켜 주 는 것이 중요합니다.
⑤ 반복되는 행동을 억지로 고치려고 하지 않습니다.

 2) 돕는 방법
반복 질문이나 반복 행동에 대한 관심을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다른 곳으로 전환하게합니다.
① 크게 손뼉을 치는 등 관심을 바꾸는 소음을 냅니다.
② 치매 대상자가 좋아하는 음식을 줍니다.
③ 좋아하는 노래를 함께 부릅니다.
④ 과거의 경험 또는 고향과 관련된 이야기를 나눕니다.
⑤ 콩 고르기, 나물 다듬기, 빨래개기 등 단순하게 할 수 있는 일거리를 제공합니다.

2. 음식섭취 관련 정신행동증상
치매 대상자는 음식을 지나치게 많이 먹거나, 계속 배고픔을 호소하고 음식이 아닌 것을 먹거나 음식을 거부할 수 있어 영양관리가 필요합니다.
치매 대상자가 노인일 경우, 하루 필요 열량은 1,500~1,600kcal이지만 배회 등이 심하여 활동이 많은 경우 섭취량을 늘려 열량 섭취와 배설의 균형을 맞춥니다.


1) 기본 원칙
① 치매 대상자의 식사시간과 식사량을 점검합니다.
② 체중을 측정하여 평상시 체중과 비교합니다.
③ 치매 대상자의 영양실조와 비만을 예방합니다.
④ 화를 내거나 대립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면 치매 대상자가 아무 때나 밥을 달라고 하는 경우, “방금 드셨는데 무슨 말씀이세요?”라며 대상자의 말을 부정하면 혼란스러워하므로 “지금 준비하고 있으니까 조금만 기다리세요.” 라고 친절하게 얘기하는 식으로 넘어가야 합니다.
⑤ 서두르지 않고 천천히 먹게 합니다.

2) 돕는 방법
① 그릇의 크기를 조정하여 식사량을 조정합니다.
② 치매 대상자가 좋아하는 대체식품을 이용합니다.
③ 식사하는 방법을 자세히 가르쳐 줍니다.
④ 식사 도구를 사용하지 못할 경우 손으로 집어 먹을 수 있는 식사를 만들어 줍니다.
⑤ 음식을 잘게 썰어 목이 막히지 않게 하고, 치매 말기에는 음식을 으깨거나 갈아서 걸죽하게 만들어 줍니다.
⑥ 위험한 물건을 먹지 못하도록 치웁니다.
⑦ 치매 대상자가 위험한 물건을 빼앗기지 않으려고 하는 경우, 치매 대상자가 좋아하는 다른 간식과 교환합니다.
⑧ 금방 식사한 것을 알 수 있도록 먹고 난 식기를 그대로 두거나 매 식사 후 달력에 표시하게 합니다.


3. 수면 장애
치매 대상자는 시간 감각이 없어 낮과 밤이 바뀔 수 있으며, 외부환경이 불편하거나 안정감이 없을 때 잠을 못 이룹니다. 또한 신체적 질병을 앓거나 심리적으로 불안하고 걱정이 많을 때도 수면장애가 심해집니다.

1) 기본 원칙
① 치매 대상자의 수면상태를 관찰합니다.
② 치매 대상자에게 알맞은 하루 일정을 만들어 규칙적으로 생활합니다.
③ 하루 일과 안에 휴식시간과 가능하면 집 밖에서의 운동을 포함시킵니다.
④ 수면에 좋은 환경을 만듭니다.

2) 돕는 방법
① 낮에 졸게 되면 밤에 수면장애가 심해지므로, 산책과 같은 야외활동을 통해 신선한 공기를 접하며 운동하도록 돕습니다.
② 밤낮이 바뀌어 낮에 꾸벅꾸벅 조는 경우 말을 걸어 자극을 줍니다.
③  소음을 최대한 없애고 적정 실내온도를 유지합니다.
④  오후와 저녁에는 수면에 방해되는 카페인 성분의 커피나 술과 같은 음료를 주지 않습니다.

4. 배회
배회는 아무런 계획도 목적지도 없이 돌아다니는 행위로 대다수의 치매 대상자에게서 나타납니다. 배회로 인해 낙상이나 신체적 손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주의 깊은 관찰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1) 기본 원칙
① 치매 대상자가 초조한 표정으로 집 안을 이리저리 돌아다니는 경우, 곧 밖으로 나가려고 하는 것임을 염두에 둡니다.
② 신체적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③ 규칙적으로 시간과 장소를 알려주어 현실감을 유지하게 합니다.
④ 치매 대상자가 활기차게 활동하며 바쁘게 생활하게 합니다.
⑤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며 소음을 차단합ㄴ다.
⑥ 배회 가능성이 있는 치매 대상자는 관련 기관에 미리 협조를 구합니다 :
관련기관 : 치매상담 콜센터(1899-9988), 치매 안심센터(배회인식표 부착), 경찰서(사전에 지문인식 등록)


 2) 돕는 방법
① 낙상 방지를 위해 안전한 주변 환경을 조성합니다.
② 치매 대상자의 신체적 욕구를 우선적으로 해결해 줍니다.
③ 단순한 일거리를 주어 배회 증상을 줄입니다.
④ 집 안에서 배회하는 경우 배회코스를 만들어 둡니다.
⑤ 치매 대상자가 배회인식표, 대응카드를 소지하게 하여 실종 시에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준비해 둡니다. 필요시 위치추적이 가능한 배회감지기(손목시계)를 착용하도록 하는 것도 좋은 방안입니다.
⑥ 배회 예방을 위해 현관이나 출입문에 벨을 달아 놓아 대상자가 출입하는 것을 관찰합니다. 창문 등 출입이 가능한 모든 곳의 문을 잠급니다.
⑦ 텔레비전이나 라디오를 크게 틀어 놓지 않으며, 집 안을 어둡게 하지 않습니다. 소음은 치매 대상자로 하여금 그들에게 포위당했다는 느낌이 들게 할 수 있습니다. 침대 옆에 매달려 있거나 부주의 하게 내던져진 옷가지는 착각과 환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⑧ 낮 시간에 단순한 일거리를 주어 에너지를 소모하게 하여 야간배회 증상을 줄입니다.
⑨ 집 청소, 산책, 목욕 등 건설적인 일을 주며, 밖에 나가거나 쇼핑을 하는 것은 활력제가 되며 수면의 질도 향상됩니다.
⑩ 고향이나 가족에 대한 대화를 나누어 관심을 다른 곳으로 돌림으로써 정서 불안에 의한 배회를 줄여 줍니다.
⑪ 상실감이나 욕구와 관련된 배회일 때는 치매 대상자 주변을 친숙한 것으로 채워주고 가족과 다과 등을 함께 하는 시간을 갖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