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치매대상자의 행동대처법 2

by 2생흥 2025. 2. 18.
반응형

치매 대상자의 행동대처법 2

치매대상자의 행동대처법 1편에서는 반복적인 질문이나 행동에 대한 접근법과 음식섭취 관련해서 밥을 먹고 계속 식사를 요구한다든지, 같은 종류의 음식만 고집한다든지 등의 경우와 수면장애로 밤새 배회하거나 이런 질환들은 뇌손상 장애로 인한 수면각성리듬이 깨져서 생기는 원인이기도 합니다. 2편에서는 보다 공격적으로 힘든 상황을 만들게 하는 망상이나 파괴적인 행동, 낮에는 유순하다가 밤 8-9시가 되면 충동적으로 변하는 석양증후군 등을 정리해봅니다.

5 의심, 망상, 환각
치매 대상자는 흔히 자신의 물건을 누가 훔쳐 갔다고 의심하여 화를 내거나, 훔쳐 가지 못하도록 감추어 둡니다. 가까운 주변 사람이나 가족이 자신을 죽이려 한다고 의심하기도 합니다. 망상 또한 치매 대상자에게 자주 발생하는 증상으로 사실에 근거를 두지 않는 잘못된 고정된 믿음입니다. 
주로 발생되는 망상은 피해망상으로 그중 다른 사람이 자신의 물건을 훔쳐 갔다는 도둑망상이 흔합니다. 치매 대상자를 돌보는 사람이 주로 의심의 대상이 되기도 합니다. 또한 보이지 않는 사물이나 사람을 보거나 없는 사람과 대화를 나누는 환각 증상을 보일 수도 있습니다.  

1) 기본 원칙
① 치매 대상자의 감정을 이해하고 수용합니다.
② 치매 대상자가 보고 들은 것에 대해 아니라고 부정하거나 다투지 않습니다.
③ 치매 대상자 앞에서 다른 사람들에게 치매 대상자의 의심이나 행동, 치매 대상자가 잃어버렸다고 의심하는 물건을 이야기하지 않습니다. 또한 조롱하는 말투를 사용하지 않으며, 특히 귓속말을 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④ 잃어버렸다거나 훔쳐 갔다고 주장하는 물건을 찾은 경우, 치매 대상자를 비난하거나 훈계하지 않습니다. 물건을 발견했을 때도 아무 일도 아닌 것처럼 행동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⑤ 규칙적으로 시간과 장소를 알려주어 현실감을 유지하게 합니다.
⑥ 치매 대상자가 다른 것에 신경을 쓰도록 계속 관심을 돌립니다.
⑦ 치매 대상자에게 하는 모든 행위에 대해 간단히 설명해 줍니다.

2) 돕는 방법
① 잃어버린 물건에 대한 의심을 부정하거나 설득하지 말고 함께 찾아봅니다.
② 동일한 물건을 자주 잃어버렸다고 하는 경우, 같은 물건을 준비해 두었다가 잃어버렸다고 주장할 때 대상자가 물건을 찾도록 도와줍니다.
③ 치매 대상자가 물건을 두는 장소를 파악해 놓습니다.
④ 도둑망상으로 치매 대상자가 방을 지킨다며 방 안에만 있기를 고집하면 위험하지 않은 범위 내에서 허용합니다.
⑤ 치매 대상자가 좋아하는 노래를 함께 부르거나 좋아하는 음악을 틀어놓습니다.

6. 파괴적 행동
파괴적 행동이란 무의미한 사건으로 보이는 것에 대해 자신뿐만 아니라 주위 사람에게 정서적으로 난폭한 반응을 보이는 것입니다. 치매 대상자는 일상적으로 해왔던 일을 기억하지 못하고 현재감정에만 반응합니다. 특히 여러 가지를 동시에 생각하여 수행하지 못한 것에 스스로 분노를 느껴 파괴적 행동을 할 수 있습니다. 
 
1) 기본 원칙
① 파괴적 행동반응을 유발하는 사건을 사전에 예방합니다.
② 규칙적인 일상생활을 하도록 활동을 구성하여 대상자가 자신의 활동을 예측할 수 있게 합니다.
③ 치매 대상자의 수준에 맞는 의사결정권을 줍니다.
④ 치매 대상자가 혼돈하지 않도록 한 번에 한 가지씩 제시하거나 단순한 말로 설명합니다.
⑤ 이해하지 못한 말은 다른 형태로 설명하지 말고 같은 말로 반복합니다.
⑥ 천천히 치매 대상자의 관심 변화를 유도합니다.
⑦ 행동이 진정된 후에는 왜 그랬는지 질문하거나 이상행동에 대해 상기시키지 않습니다.
⑧ 치매 대상자가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중이면, 활동을 중지시키고 가능한 한 다른 자극을 주지 않습니다.
⑨ 모든 신체 언어는 위협적으로 느끼지 않게 합니다.
⑩ 불필요한 신체적 구속은 피합니다.
⑪ 파괴적 행동은 고집스러움이나 심술을 부리려는 의도가 아니라 치매에 의한 증상임을 이해하여야 합니다.

2) 돕는 방법
① 이상행동 반응을 보이면 질문하거나 일을 시키는 등의 자극을 주지 말고 조용한 장소에서 쉬게 합니다.
② 온화하게 이야기하고, 치매 대상자가 당황하고 흥분되어 있음을 이해한다는 표현을 합니다.
③ 갑자기 움직여 대상자가 놀라게 하지 말고 천천히 안정된 태도로 움직입니다.
④ 일상적인 생활에 대하여 자상하게 반복하여 설명하고 신체적인 요양보호기술을 적용할 때마다 도와주는 행동을 말로 표현합니다. 치매 대상자가 끊임없이 난폭한 발작을 하지 않는 한 신체적 구속은 사용하지 않는게 좋습니다. 구속이 불가피한 경우 신체의 일부만 구속하며 구속한 후에는 공격적인 행동이 사라질 때까지 접촉을 줄입니다.

7 석양증후군
석양증후군이란 치매 대상자가 해질녘이 되면 더욱 혼란해지고 불안정하게 의심 및 우울 증상을 보이는 것입니다. 석양증후군은 대상자의 생활에 변화가 생긴 후 더 자주 발생하고, 주의집중 기간이 더욱 짧아지며, 현실이 자신을 고통 속에 처하게 만든다고 생각하여 더욱 충동적으로 행동합니다.

1) 기본 원칙
① 해질녘에는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치매 대상자와 함께 있습니다.
② 치매 대상자가 좋아하는 소일거리를 주거나 애완동물과 함께 즐거운 시간을 갖게 합니다.
③ 낮 시간 동안 움직이거나 활동하게 합니다.
④ 신체적 제한은 치매 대상자가 소리를 지르거나, 몸부림치거나, 화내고, 고집부리는 행동을 더욱 악화시키므로 하지 않는 게 좋습니다.

2) 돕는 방법
① 치매 대상자는 인형, 애완동물, 익숙한 소리를 듣거나 좋아하는 일을 하는 것에서 위안을 받을 수 있으므로 이를 활용합니다.
② 대상자를 밖으로 데려가 산책을 합니다. 맑은 공기는 정신을 맑게 하고 치매 대상자의 들뜬 마음을 가라앉힙니다. 
③ 따뜻한 음료수, 등 마사지, 음악듣기 등이 잠드는 데 도움이 됩니다.
④ 텔레비전을 켜놓거나 조명을 밝게 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