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2 치매대상자의 행동대처법 2 치매 대상자의 행동대처법 2 치매대상자의 행동대처법 1편에서는 반복적인 질문이나 행동에 대한 접근법과 음식섭취 관련해서 밥을 먹고 계속 식사를 요구한다든지, 같은 종류의 음식만 고집한다든지 등의 경우와 수면장애로 밤새 배회하거나 이런 질환들은 뇌손상 장애로 인한 수면각성리듬이 깨져서 생기는 원인이기도 합니다. 2편에서는 보다 공격적으로 힘든 상황을 만들게 하는 망상이나 파괴적인 행동, 낮에는 유순하다가 밤 8-9시가 되면 충동적으로 변하는 석양증후군 등을 정리해봅니다. 5 의심, 망상, 환각 치매 대상자는 흔히 자신의 물건을 누가 훔쳐 갔다고 의심하여 화를 내거나, 훔쳐 가지 못하도록 감추어 둡니다. 가까운 주변 사람이나 가족이 자신을 죽이려 한다고 의심하기도 합니다. 망상 또한 치매 대상자에게 자주 발.. 2025. 2. 18. 치매 대상자의 행동 대처법 1 치매대상자의 행동 대처법 1치매 대상자는 우울과 위축행동을 비롯하여 망상, 의심, 배회 등 다양한 이상행동을 보입니다. 감정과 행동이 갑자기 변화하거나 해 질 무렵에 특정 증상이 더 악화되기도 합니다. 이러한 문제행동에 대처하기위해 안전하고 안정된 환경을 조성하고, 각 상황에 맞게 대처해야 합니다.1. 반복적 질문이나 행동 치매후기 단계에서 치매 대상자는 비논리적으로 이야기하거나 같은 단어나 행동을 연속적으로 여러 번 반복하게 됩니다. 1) 기본 원칙 ① 치매 대상자의 주의를 환기합니다. ② 반복적인 행동이 해가 되지 않으면 무리하게 중단시키지 말고 그냥 놔두어도 됩니다. ③ 치매 대상자가 심리적 안정과 자신감을 갖도록 도와줍니다. ④ 질문에 답을 해주는 것보다 치매 대상자를 다독거리며 안심시켜 주 는.. 2025. 2. 18. 치매대상자 일상생활 돕기 2 치매대상자 일상생활 돕기 2 전편 일상생활 돕기 1편에서 식사돕기까지 정리했습니다. 2편에서는 일상에서 가장 중요한 배설돕기 및 개인위생 돕기 등입니다. 일반적으로 요양병원이나 요양원 혹은 가정에서 가장 힘든 부분이 바로 배설돕기 부분입니다. 치매 대상자를 간병해야하는 간병인이나 요양보호사 혹은 가족이 맞닥뜨려야 하는 가장 힘든 현실이 바로 배설돕기 라고 사료됩니다. 3. 배설돕기 배설문제는 치매 대상자의 일상생활에 장애 요인이 되므로 적절한 보호가 필요합니다. 또한 대부분 치매 대상자는 자기보호기능이 저하되어 있으므로 이들을 보호적 환경에서 인내심을 가지고, 수용적이고 부드러운 태도로 대해야 합니다. 치매 대상자에게 흔한 배설문제는 다음 원인과 관련이 있거나, 다음의 행동을 동반합니다. ① 뇌기능 장.. 2025. 2. 18. 치매 대상자 일상생활돕기 1 한국의 인구 고령화와 더불어 국내 치매환자도 급등하고 있는 현실입니다. 65세 이상 인구의 치매 유병률은 약 11%이며, 65세 이상 9명 중 1명은 치매라는 수치가 나오는 겁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80대 중반 이상의 절반 정도는 치매 진단 가능성이 있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이런 현실을 감안해보면 주변에 치매에 걸린 부모님을 모시고 간호해야 하는 가정이 수두룩합니다. 그래서 치매 부모님을 모시는 가족들도 치매 대상자를 돕는 기본 지식을 알고 간호해야 하기 때문에 치매에 대한 부분을 보다 중요하게 다루게 되었습니다. 치매대상자의 일상생활 돕기치매는 생각, 기억, 판단력과 같은 기능이 서서히 쇠퇴하여 일상생활을 어렵게 합니다. 치매의 증상인 기억장애, 언어장애, 판단 및 인지능력 장애, 일상생활수행 장애,.. 2025. 2. 11. 노인의 환경관리 노인의 환경관리 1. 안전한 주거환경 조성 1) 현관 ① 현관에 계단이나 문턱이 있으면 경사로를 설치하고, 휠체어가 쉽게 통과할 수 있게 입구의 폭을 넓힙니다. ② 조명은 현관 밖과 발밑을 비출 수 있게 설치합니다. ③ 현관 바닥은 미끄럽지 않은 소재를 사용합니다. ④ 문고리는 열고 닫기가 용이하도록 막대형으로 설치합니다. ⑤ 현관에서 안전하게 신발을 신고 벗을 수 있도록 의자를 놓아둡나다. ⑥ 복도에는 짐이나 신문 등 장애물을 두지 않고, 야간에는 조명을 켜둡니다. 2) 거실 ① 출입구에는 문턱이 없게 합니다. ② 햇볕이 잘 들고 가족들의 모습과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곳이 좋습니다. ③ 거실의 넓이는 휠체어, 보행기, 지팡이 등 이동에 불편함이 없도록 확보합니다. ④ 전기코드 등은 벽 쪽으로 .. 2025. 2. 4. 노인을 위한 복지용구 노인을 위한 복지용구 1. 노인과 장애 인간은 자신이 생활하는 장소에서 의미 있는 활동을 하면서 오랜 시간 적응하면서 살아갑니다. 하지만 질병이나 사고 등에 의해서 주어진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는 일이 발생하게 되기도 합니다. 이를 극복하여 다시 자신의 일상생활로 돌아가게 해주는 것이 바로 재활의 기본 원칙입니다. 이때 사용하는 중재 방법은 2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하나는 신체적·정신적 장애에 잘 적응하기 위하여 개인의 건강 수준에 맞는 복지용구를 제공하는 것과 가정환경을 수정하는 방법이 사용됩니다. 다른 하나의 방법은 손상된 부위를 반복 훈련하여 신경을 재생시켜 다시 예전의 생활로 돌아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노인의 경우에는 장애인으로 분류하지는 않지만, 점차 신체적·정신적 기능장애로 일상생활 수.. 2025. 1. 23.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