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노인학20

중년이후 부터 조심해야 할 음식 중년 이후부터 조심해야 할 음식 중년으로 접어들면서 내 주변에 밀가루 음식을 더 이상 먹지 않는 지인들이 하나 둘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ㅜㅜ그러다보니 어느 순간부터  생일이나 기념일 등 축하할 일이 있을 때 늘 맛있게(?) 먹었던 생크림 케익, 치즈케익, 고구마케익 대신 아이스크림 케익 혹은 떡케익으로 대체되어버렸습니다. ㅜㅜ 밀가루 음식을 먹지않는  지인들의 공통된 얘기는 밀가루 음식을 먹으면 흔히 얼굴이 뒤집어진다고 말합니다. 즉 피부에 이상 반응이 생기고 특히 얼굴에 붉은 발진, 두드러기, 가려움증이 생기는 증세로 이어지게 되는데 증세가 심해지면 밀가루가 원료에 배합된 경우 (즉 식품점에서 파는 카레, 어묵, 쌀과자(밀가루 배합), 밀떡볶이 등)에도 반응을 하게 되는 증세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이유.. 2025. 4. 8.
치매대상자 일상생활 돕기 2 치매대상자 일상생활 돕기 2 전편 일상생활 돕기 1편에서 식사돕기까지 정리했습니다. 2편에서는 일상에서 가장 중요한 배설돕기 및 개인위생 돕기 등입니다. 일반적으로 요양병원이나 요양원 혹은 가정에서 가장 힘든 부분이 바로 배설돕기 부분입니다. 치매 대상자를 간병해야하는 간병인이나 요양보호사 혹은 가족이 맞닥뜨려야 하는 가장 힘든 현실이 바로 배설돕기 라고 사료됩니다.  3. 배설돕기 배설문제는 치매 대상자의 일상생활에 장애 요인이 되므로 적절한 보호가 필요합니다. 또한 대부분 치매 대상자는 자기보호기능이 저하되어 있으므로 이들을 보호적 환경에서 인내심을 가지고, 수용적이고 부드러운 태도로 대해야 합니다. 치매 대상자에게 흔한 배설문제는 다음 원인과 관련이 있거나, 다음의 행동을 동반합니다. ① 뇌기능 장.. 2025. 2. 18.
치매 대상자 일상생활돕기 1 한국의 인구 고령화와 더불어 국내 치매환자도 급등하고 있는 현실입니다. 65세 이상 인구의 치매 유병률은 약 11%이며, 65세 이상 9명 중 1명은 치매라는 수치가 나오는 겁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80대 중반 이상의 절반 정도는 치매 진단 가능성이 있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이런 현실을 감안해보면 주변에 치매에 걸린 부모님을 모시고 간호해야 하는 가정이 수두룩합니다. 그래서 치매 부모님을 모시는 가족들도 치매 대상자를 돕는 기본 지식을 알고 간호해야 하기 때문에  치매에 대한 부분을 보다 중요하게 다루게 되었습니다. 치매대상자의 일상생활 돕기치매는 생각, 기억, 판단력과 같은 기능이 서서히 쇠퇴하여 일상생활을 어렵게 합니다. 치매의 증상인 기억장애, 언어장애, 판단 및 인지능력 장애, 일상생활수행 장애,.. 2025. 2. 11.
노인의 환경관리 노인의 환경관리  1.  안전한 주거환경 조성 1)  현관 ① 현관에 계단이나 문턱이 있으면 경사로를 설치하고, 휠체어가 쉽게 통과할 수 있게 입구의 폭을 넓힙니다. ② 조명은 현관 밖과 발밑을 비출 수 있게 설치합니다. ③ 현관 바닥은 미끄럽지 않은 소재를 사용합니다. ④ 문고리는 열고 닫기가 용이하도록 막대형으로 설치합니다. ⑤ 현관에서 안전하게 신발을 신고 벗을 수 있도록 의자를 놓아둡나다. ⑥ 복도에는 짐이나 신문 등 장애물을 두지 않고, 야간에는 조명을 켜둡니다. 2)  거실 ① 출입구에는 문턱이 없게 합니다. ② 햇볕이 잘 들고 가족들의 모습과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곳이 좋습니다. ③ 거실의 넓이는 휠체어, 보행기, 지팡이 등 이동에 불편함이 없도록 확보합니다. ④ 전기코드 등은 벽 쪽으로 .. 2025. 2. 4.
노인을 위한 복지용구 노인을 위한 복지용구 1. 노인과 장애 인간은 자신이 생활하는 장소에서 의미 있는 활동을 하면서 오랜 시간 적응하면서 살아갑니다. 하지만 질병이나 사고 등에 의해서 주어진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는 일이 발생하게 되기도 합니다. 이를 극복하여 다시 자신의 일상생활로 돌아가게 해주는 것이 바로 재활의 기본 원칙입니다. 이때 사용하는 중재 방법은 2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하나는 신체적·정신적 장애에 잘 적응하기 위하여 개인의 건강 수준에 맞는 복지용구를 제공하는 것과 가정환경을 수정하는 방법이 사용됩니다. 다른 하나의 방법은 손상된 부위를 반복 훈련하여 신경을 재생시켜 다시 예전의 생활로 돌아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노인의 경우에는 장애인으로 분류하지는 않지만, 점차 신체적·정신적 기능장애로 일상생활 수.. 2025. 1. 23.
노인의 성생활 노인의 성생활 노인인구의 증가로 인한 노인의 성에 대한 인식이 조금씩 변화되고 있고 노인의 성에 관한 여러 선행연구도 노인은 성적인 존재임을, 여성도 남성과 다를 바 없음을 알려주고 있지만 아직도 전통적인 사회적 통념상 노인의 성은 편견과 부정적 평가, 사회‧문화적 억압에서 자유스럽지 못합니다. 이는 노인 자신도 마찬가지로 자신들의 성에 대해 당당하지 못하고 부끄럽고 수치스럽게 여기며 심지어는 죄책감까지 느끼고 있어 노인의 삶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노인이 되면 성적 욕구가 사라진다고 생각하지만 되어서도 성적인 관심이 있고 행동합니다. 사회적인 편견 때문에 노인의 성적 욕구가 무시되고 질환 때문에 성적 제한이 발생하기도 하지만 노인 삶의 질 증진을 위해서 성생활이 고려되어야 합니다. 1... 2025. 1. 14.